이번에 살펴 볼 종목은 파미셀입니다.
파미셀의 테마는 첨생법 줄기세포 화장품 백신 코로나 치료제 원숭이두창 / 엠폭스 진단키트 유전자치료 mRNA 코로나19 - 화이자 코로나19 - 모더나 코로나19 - 머크가 있습니다.
파미셀은 1968년 설립되어 1988년 상장. 줄기세포 치료제 등 의 제조 및 판매, 연구개발 등을 위한 바이오사업과 친환경 난연제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세계 최초로 줄기세포치료제를 개발한 바이오 제약 전문기업이며, 바이오사업부, 바이오케미컬사업부 등 2개의 사업부를 두고 있음.컨소시엄 구성, 공동 연구 등 대기업과 연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신소재 제품 개발을 계속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매출을 계속 발굴 중에 있음.
파미셀은 첨생법 관련주로 분류가 됩니다.
종목 이름 : 파미셀
테마 : 첨생법 줄기세포 화장품 백신 코로나 치료제 원숭이두창 / 엠폭스 진단키트 유전자치료 mRNA 코로나19 - 화이자 코로나19 - 모더나 코로나19 - 머크.
기업 개요- 세계 최초의 줄기세포치료제(하티셀그램-에이엠아이)를 개발한 바이오 제약 전문기업으로 사업부문은 바이오사업부와 케미컬사업부로 운영되고 있음.- 2011년 9월 에프씨비파미셀과의 합병으로 바이오사업의 시너지 효과 발생, 2013년 원료의약품 전문기업인 아이디비켐(주)을 자회사로 인수하여 케미컬사업부를 신설하였음.- 2016년 11월 울산에 바이오케미컬 사업부 연구소를 준공하여 뉴클레오시드, 엠피이지 등 차세대 바이오 신약 원료와 전자재료 등 화학 기반 제품의 연구개발을 담당.재무- 하티셀그램 매출 증가와 PEG유도체 및 의약, 농약, 전자재료 중간체 매출 확대, 상품 매출 호조에도 뉴클레오시드의 매출이 급감한바 매출 규모는 전년동기대비 축소.- 원가율의 하락에도 경상연구개발비 및 인건비 부담으로 영업이익률은 전년동기대비 하락하였으며 기타영업외수지 저하에도 금융수지 개선으로 순이익률은 상승.- mPEG 및 저유전율 소재의 수요 확대와 원료의약물질 경쟁력 확보, 하반기 론칭한 뷰티브랜드의 성장으로 매출 회복을 통해 영업수익성 또한 상승세로 전환될 듯.
첨생법 관련주 파미셀의 주가 전망 및 차트 분석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1) 투자지표 분석
2025.02.13 기준(장마감) 파미셀의 시가 총액은 6,494억원입니다.
시가 총액은 기업가치로 기업이 가지고 있는 (주식의 수 x 현재 주가)입니다.
파미셀의 시가총액 순위는 코스피 329위입니다.
파미셀의 상장주식수는 60,016,964주입니다.
파미셀의 액면가는 500원이고 매매단위는 1주입니다.
파미셀의 PER은 189.82배 이고 동종업계PER은 86.26배의 수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작년 말의 연간 실적을 보면 PER은 101.82배, EPS(주당순이익)는 60원, BPS는 1,340원, PBR은 4.53배입니다.
연도별 EPS는 2021년 12 : 158원, 2022년 12 : 138원(증가율 : -12.658 %), 2023년 12 : 60원(증가율 : -56.522 %), 2024년 12(E) : 0원(증가율 : 0 %) 입니다.
연도별 EPS 증가율이 25%미만으로 CAN SLIM 투자에 적정하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연도별 ROE는 2021년 12 : 15.62%, 2022년 12 : 11.76%, 2023년 12 : 4.56%, 2024년 12(E) : 0.0% 입니다.
연도별 ROE가 17%미만으로 CAN SLIM 투자에 적정하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PBR과 BPS는 각각 7.86배, 1,376원이며 배당수익률은 0.19%입니다.
최근 영업이익 수치는 79억원, 89억원, 13억원입니다.
최근 당기순이익 수치는 95억원, 83억원, 36억원입니다.
파미셀의 재무를 보면 상장폐지 위험이 낮아 보입니다.
최근 부채비율은 15.08%이고 유보율은 168.30%입니다.
100% 이하로 부채 비율이 상당히 낮은 편에 속하는 종목입니다.
유보율이 보통인 편에 속하는 종목입니다. 평범한 종목입니다.
2023년 결산기준 업종별 재무비율을 살펴보겠습니다.
파미셀은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에 해당하며 같은 업종에 180.0개의 종목이 있습니다.
(1) 부채비율
업종 평균 부채비율이65.59%이고 파미셀의 부채비율이 15.08%로 업종평균보다 낮습니다.
이는 기업이 보수적인 재무 정책을 유지했음을 나타냅니다. 이는 안정적인 재무 구조를 의미합니다.
낮은 부채비율은 경제 변동성에 대한 내성이 높고, 재무 리스크가 낮습니다. 이는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보수적이지만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한 기업입니다. 장기적으로 안정적 성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2) 총자산 증가율
업종 평균 총자산 증가율이1.22%이고 파미셀의 총자산 증가율이 -15.62%로 업종평균보다 낮습니다.
이는 기업이 보수적인 자산 운용을 했음을 나타냅니다.
자산 증가율이 낮더라도 효율적으로 자산을 활용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안정적인 운영이 지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안정적이고 보수적인 투자 성향을 가진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전략에 부합합니다.
(3) 매출액 증가율
업종 평균 매출액 증가율이5.89%이고 파미셀의 매출액 증가율이 -6.57%로 업종평균보다 낮습니다.
이는 시장 점유율 감소나 경쟁력 저하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
매출 성장률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성장 전략이 필요합니다.
매출 증가율이 낮은 기업은 시장에서 성장 잠재력이 크지 않아 성장주보다는 가치주로 분류될 가능성이 큽니다. 매출 증가율이 낮아 성장주로 분류되지 않지만, 안정적인 수익을 내고 있고, 현재 주가는 내재가치보다 낮게 평가되어 있을 경우, 저평가된 주식을 발굴하는 전략이 유효할 수 있습니다.
(4) 순이익 증가율
업종 평균 순이익 증가율이28.62%이고 파미셀의 순이익 증가율이 -56.69%로 업종평균보다 낮습니다.
이는 비용 증가나 수익성 악화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수익성을 개선하기 위한 구조조정이나 비용 절감 전략이 필요합니다.
단기적인 어려움이 있는 기업이라도, 구조조정 등의 개선 가능성이 있다면 저평가된 상태에서 투자 기회를 모색할 수 있습니다.
(5) 영업이익 증가율
업종 평균 영업이익 증가율이11.36%이고 파미셀의 영업이익 증가율이 -85.39%로 업종평균보다 낮습니다.
이는 핵심 영업 활동에서의 효율성 저하를 시사합니다.
영업이익 개선을 위해 전략적 변화가 필요합니다.
단기적으로는 도전이 있을 수 있지만, 영업 구조를 개선할 가능성이 있다면 저가 매수 기회를 노릴 수 있습니다.
(6) 총자본순이익율
업종 평균 총자본순이익율이-5.3%이고 파미셀의 총자본순이익율이 3.54%로 업종평균보다 높습니다.
이는 자본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높은 수익을 창출했음을 의미합니다.
자본 효율성이 뛰어나며, 이는 장기적으로 투자 수익률을 높일 가능성이 큽니다.
높은 총자본순이익율을 가진 기업에 투자하면 자본 효율성으로 인해 안정적이며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7) 자기자본비율
업종 평균 자기자본비율이65.9%이고 파미셀의 자기자본비율이 86.9%로 업종평균보다 높습니다.
이는 부채보다는 자기자본에 의존했음을 나타냅니다.
재무 구조가 안정적이며, 경제적 변동성에 대한 내성이 강합니다.
안정적이고 낮은 리스크를 선호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2) 재무 분석
(1) 손익계산서 분석
지난 실적 대비 영업이익이 감소하여 주가 상승이 어려워 보입니다.
(2) 재무상태표 분석
현금성 자산이 매출액 대비164.54%로 적정하지 아니한 것으로 보입니다.
전분기 대비 매출액 감소 결과 매출채권도 감소하였으나 매출액 감소 대비 매출채권 감소 비율이 낮아 매출채권 회수가 적정하지 아니한 것으로 보이고 채권회수 미회수 시 판괸비(대손상각비) 증가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3) 현금흐름표 분석
현금흐름표로 볼때 당해 법인은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 투자현금 흐름이 (+), 재무현금흐름이 (-) 인 구조조정형입니다
영업활동 현금흐름, 투자현금 흐름, 재무현금흐름으로 보아 영업활동으로 인해 현금을 창출 중이고, 금융자산을 처분하여 차입금 상환이나 배당을 하는 경우에 해당하고 주로 재무구조를 강화하는 기업에 해당합니다. 또는 주주들에 대한 배려를 강화하는 기업으로도 해석될 수 있습니다.
3) 차트 분석
우선 오늘 국내 지수의 움직임을 확인해 보면
현재 코스피 지수는 2,583.17이며 전일 대비해서 34.78 +1.36%상승했고
코스닥 지수는 현재 749.28로 나타나 있으며, 전일 대비 4.10 +0.55%상승 했습니다.
파미셀의 2025.02.13 기준(장마감)현재 주가는 10820원이며, 이는 전일 종가인 9370원보다 1450원 상승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최근 5일 종가들의 평균은 9664원입니다.
현재 주식의 종가가 최근 5일간의 평균 종가를 상회하고 있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상승 추세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파미셀의 종가는 10820원이며 파미셀의 현재 주가는 20일 이동 평균선 및 볼린저 밴드 중심선보다 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는 최근의 주가 움직임이 상승세에 있음을 시사하며, 주가가 통상적인 평균 수준보다 높은 수준에 있음을 나타냅니다.
파미셀의 종가는 10820원이며 파미셀의 현재 주가는 장기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인 240일 이동 평균선 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는 과거 240일 동안의 평균 주가를 나타내는 이동 평균선을 기준으로 주가가 위에 위치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상황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주가가 상승 추세에 있을 수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오늘 종가와 20일 이동평균선 사이의 이격도가 136%이므로 약세장이 아닌 경우 20일 이동평균선과의 이격도 상에서는 매도 신호로 볼 수있습니다.
RSI가 69.92%로 특별한 신호로 보기 어렵습니다. 다른 기술 지표나 시장 조건과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금일 첨생법 줄기세포 화장품 백신 코로나 치료제 원숭이두창 / 엠폭스 진단키트 유전자치료 mRNA 코로나19 - 화이자 코로나19 - 모더나 코로나19 - 머크는 거래량 5,895,601주가 거래되었으며 거래대금 61,769백만원이 움직였습니다.
금일의 거래에서는 각 거래원이 얼마만큼의 주식을 거래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살펴보려 합니다. 이를 통해 시장 참여자들 간의 거래 활동과 주식 시장의 동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금일 매도 상위 거래원은 각각 키움증권에서 1,814,714주, 한국투자증권에서 771,980주, 미래에셋증권에서 520,448주, 신한투자증권에서 490,682주, NH투자증권에서 438,647주를 매도하였습니다.
금일 매수 상위 거래원은 각각 키움증권에서 1,883,838주, 한국투자증권에서 831,458주, 신한투자증권에서 700,600주, 미래에셋증권에서 584,784주, NH투자증권에서 323,253주를 매수하였습니다.
최근 5일간 외국인(보유비율 : 8.04%)은 277619주만큼 순매수를 하였으며 기관은 316627주만큼 순매수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
여기까지 파미셀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이였습니다.투자 결정에 있어서는 개인이 사용하는 전략과 방법에 따라 결과가 다를 수 있습니다. 안전하게 투자하고 수익을 올리기 위해서는 자신에게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고 신중한 분석이 필요합니다. 투자에는 항상 리스크가 따르므로,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저의 의견은 참고 용도로만 이해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주식 투자에 관한 모든 결정은 투자자 개인의 판단과 책임에 따라 이루어져야 합니다. 제가 제시한 정보나 의견은 투자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일 뿐이며, 개별 투자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어떠한 투자에 대한 책임도 지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
#파미셀, #첨생법, #주식, #재무제표 분석, #재무상태표 분석, #업종별 비율 분석, #손익계산서 분석, #현금흐름표 분석
'주식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장품관련주 비엘팜텍 주가 전망 및 차트 분석 (0) | 2025.02.13 |
---|---|
데이터센터관련주 옵티코어 주가 전망 및 차트 분석 (0) | 2025.02.12 |
방산관련주 아이쓰리시스템 주가 전망 및 차트 분석 (0) | 2025.02.12 |
AI(인공지능)관련주 엑스페릭스 주가 전망 및 차트 분석 (0) | 2025.02.12 |
AI(인공지능)관련주 TS인베스트먼트 주가 전망 및 차트 분석 (0) | 2025.02.12 |